베카 계곡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카 계곡은 레바논 산맥에 위치한 지역으로, 오론테스 강과 리타니 강이 발원한다. 이 지역은 레바논 경작지의 40%를 차지하며, 비옥한 토지에서 밀, 옥수수, 포도 등을 재배한다. 과거 로마 제국 시대부터 곡물 공급지였으며, 현재는 와인 생산지로도 유명하다. 또한, 과거 습지였던 암미크 습지는 철새의 중간 기착지 및 월동지로서 람사르 조약에 등록되었다. 베카 계곡은 역사적으로 다양한 문명의 영향을 받았으며, 바알베크와 같은 유적지가 존재한다. 하지만 레바논 내전과 그 이후의 정치적 불안정으로 인해 불법 마약 재배가 이루어지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레바논의 지리 - 셰바팜스
셰바 팜스는 이스라엘, 레바논, 시리아 간의 영유권 분쟁 지역으로, 1967년 이스라엘이 점령한 이후 레바논과 이스라엘 간의 분쟁, 2006년 레바논 전쟁의 원인이 되었으며, 현재까지도 해결되지 않고 있다. - 레바논의 지리 - 갈릴래아
갈릴래아는 이스라엘 북부에 위치하며 상갈릴래아, 하갈릴래아 등으로 나뉘고, 철기 시대 이스라엘 왕국의 일부였으며, 다양한 민족과 문화가 공존하고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의 성지로 여겨지는 관광지이다. - 계곡 - 와디
와디는 아랍어에서 유래된 건조 지역의 계곡을 의미하며, 간헐적으로 지표수가 흐르는 건천으로, 바람과 물에 의해 퇴적 구조를 형성하고 홍수로 하천 패턴이 변화하며, 지하수가 존재하여 인구 중심지와 유목민의 생활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계곡 - 카트만두 계곡
카트만두 계곡은 네팔의 수도 카트만두를 포함하는 지역으로 네와르족의 역사와 문화가 깊이 깃든 네팔 만달라 연맹의 중심지이며, 파고다 건축 양식 등 독특한 문화유산을 보유하여 1979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7개의 주요 유적지로 구성된다. - 대지구대 - 아카바만
아카바만은 시나이 반도 동쪽과 아라비아 반도 서쪽 사이 홍해 북쪽에 위치한 깊은 만으로, 주요 도시들이 위치하고 풍부한 해양 생물로 유명하며 역사적, 관광적 가치가 높다. - 대지구대 - 아덴만
아덴만은 아라비아 반도와 아프리카 대륙 사이의 해역으로, 석유 수송로로서 세계 경제에 중요하며, 해적 활동과 환경 오염의 위협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해양 생물이 서식하는 곳이다.
베카 계곡 | |
---|---|
개요 | |
이름 | 베카 계곡 |
로마자 표기 | Wadi al-Biqa' |
아랍어 표기 | وادي البقاع |
지리 | |
위치 | 레바논 동부 |
주 | 바알베크-헤르멜 주, 베카 주 |
주요 도시 | 바알베크 |
길이 | 120km |
너비 | 16km |
종류 | 계곡 |
기타 | |
특징 | 포도 재배 |
2. 지리
이 지역은 강수량이 제한적인데, 특히 북부 지역이 그렇다. 이는 레바논 산맥이 바다에서 오는 강수를 막아 강수량 감소를 만들기 때문이다. 북부 지역의 연평균 강수량은 230mm인 반면, 중앙 계곡은 610mm이다.[3]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계곡에서 두 개의 강이 발원한다. 하나는 시리아와 터키 북쪽으로 흐르는 오론테스 (아시) 강이고, 다른 하나는 남쪽으로 흘러 서쪽으로 지중해로 향하는 리타니이다.[1]
베카 계곡은 과거 광대한 습지와 호수가 있던 곳이었으나, 현재는 습지가 극히 일부만 남아있다[19]。
기원전 1세기부터 로마 제국의 일부였던 베카 계곡은 레반트의 로마 속주에 곡물을 공급하는 곳이었다. 오늘날 이 계곡은 레바논 경작지의 40%를 차지한다.[4] 강수량이 적고 토양이 비옥하지 않은 계곡 북쪽 끝은 주로 유목민의 목초지로 사용된다. 더 남쪽으로 가면 토양이 비옥하여 밀, 옥수수, 면화, 채소, 그리고 자흘레를 중심으로 한 포도원과 과수원에서 작물을 재배한다.
이 계곡은 또한 하시시를 생산하고 양귀비를 재배하며, 이는 불법 마약 거래의 일부로 수출된다.[4] 과거에는 광대한 습지와 호수가 있는 계곡이었지만, 현재는 습지가 아주 조금 남아 있다.[19]
한편, 비옥한 토지이기에 곡물이나 과일의 대규모 산지이며, 중동에서는 드문 와인의 생산지 (생산자는 기독교 마론파나 정교회 주민)이기도 하다. 또한, 계곡에는 과거 습지의 흔적인 Aammiq Wetland|아미크 습지영어가 있으며, 갈대속 및 부들속이 많이 자라는 일대의 갈대밭은 검은제비갈매기, 흰뺨오리, 분홍펠리컨, 지네 등의 철새의 중요한 중간 기착지 및 월동지이다. 1999년 람사르 조약 등록지가 되었다.[19]
3. 역사
역사·정치·군사적으로 중요한 위치에 있어, 레바논 내전 기간(1976년부터 2005년까지) 레바논에 주둔한 시리아군의 주력 부대가 이곳에 머물렀다. PLO를 비롯한 여러 팔레스타인 조직들이 캠프를 설치했고, 일본 적군도 한때 이곳을 본거지로 삼았다. 1980년대 이후에는 헤즈볼라의 주요 근거지 중 하나가 되었고(바알베크에 본부 중 하나를 두고 있음), 친시리아 성향의 팔레스타인인 조직들의 군사 거점도 존재하여 이스라엘 방위군의 공습과 지상전이 빈번하게 발생했다.
레바논 내전 동안 베카 계곡은 대마초와 하시시, 아편 등 마약 재배 및 생산의 주요 거점이었으며, 이는 전쟁으로 인한 수입 확보를 위한 것이었다. 시리아는 계곡 대부분을 통제하며 마약 거래로 상당한 이익을 얻었고, PLO와 같은 팔레스타인 테러 단체들도 마약 거래에 참여했다.[13] 1990년대 초, 마약과의 전쟁으로 미국 국무부의 압력을 받은 시리아군은 베카의 대마초 밭을 갈아엎고 독극물을 살포했다.[14] 1991년 이전 베카에서 재배된 불법 작물 수입은 약 5억달러로 추산되었으며, 바알베크와 헤르멜 지역의 연간 1인당 소득은 500USD를 넘지 않았다.[14] 1990년대 중반 이후 마약 문화와 생산은 꾸준히 감소하여, 2002년에는 약 2500ha의 대마초가 계곡 최북단 지역으로 제한되었다.[15] 2001년 이후 매년 레바논 육군은 대마초 밭을 갈아엎고 있지만, 전체 작물의 30% 이하만 제거되는 것으로 추정된다.[16] 아편 재배는 1983년 연간 약 30ton에서 2004년에는 미미한 양으로 감소했다. 2006년 레바논 전쟁과 2007년 야당의 정부 보이콧 기간 동안 정치적 불안이 증가하면서 마약 재배와 생산이 다시 증가했다.[17][18]
한편, 베카 계곡은 비옥한 토지 덕분에 곡물과 과일의 주요 생산지이며, 중동에서는 보기 드물게 와인을 생산하는 곳이기도 하다(생산자는 기독교 마론파나 정교회 주민). 또한, 과거 습지의 흔적인 Aammiq Wetland영어이 있으며, 갈대속과 부들속이 무성한 갈대밭은 검은제비갈매기, 흰뺨오리, 분홍펠리컨, 지네 등 철새의 중요한 중간 기착지이자 월동지이다. 1999년 람사르 조약 등록지가 되었다[19]。
3. 1. 선사 시대
바알베크는 북부 베카 계곡 동쪽에 위치한 계곡의 일부로, 약 8,000~9,000년 전부터 사람이 계속 살았던 흔적이 있다. 아르드 트라일리는 레바논 산맥 기슭 평원에 있는 작은 언덕으로, 고고학 유적지가 있다. 이곳은 바알베크에서 북서쪽으로 11km 떨어진 베카 계곡에 있으며, 기원전 5780~5710년경 할라프 문화에 속하는 가장 남쪽의 토기가 발견되었다.[5]
라브웨는 해발 950m에 있는 마을로, 레바논 바알베크-헤르멜 주 바알베크 지역의 안티 레바논 산맥 기슭에 자리 잡고 있다. 이곳은 신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정착해 살았다.[5]
3. 2. 청동기 시대
청동기 시대 중기 IIA에 베카 계곡은 북쪽의 지역 강국인 카트나와 남쪽의 봉신인 하조르 사이의 주요 통로였다. 베카 계곡은 청동기 시대 동안 ''암쿠''로 알려졌다. 거주민의 정체성은 확실히 알려져 있지 않지만, 이 지역은 아모리트 왕국인 아무르와 카트나의 일부였다. 바알베크의 남서쪽에는 에니샤시가 있었는데, 이 도시는 기원전 1350년-기원전 1335년 아마르나 서한 서신에서 언급되었으며, 도시의 두 통치자 샤티야와 압디-리샤가 작성했다.
3. 3. 철기 시대
초기 철기 시대에 베카 계곡은 페니키아어와 아람어를 사용하는 인구가 지배했다.
기원전 11세기와 10세기에 아람인은 성경에 언급된 아람-조바(또는 소바)를 세웠다. 많은 학자들은 이곳이 베카 계곡에 위치했다고 본다.[7] 당시 주요 도시였던 조바의 정확한 위치는 학계의 논쟁거리로 남아 있다. 기원전 8세기와 7세기에는 신아시리아 제국의 지배하에 있던 소바가 아시리아 총독 ''벨-리크비''의 거주지가 되었다.[7]
3. 4. 헬레니즘 및 로마 시대
알렉산드로스 대왕 시대에 이 계곡에는 아랍계 또는 아람인일 가능성이 있는 이투레아인이 거주했다고 전해진다.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역사''에 따르면, 이투레아인은 티레 위의 언덕에 살던 아랍계 농민으로 약 30명의 마케도니아인을 학살했고, 이에 알렉산드로스는 그들을 토벌하기 위한 원정을 벌였다. 이후 이투레아인은 쇠퇴한 셀레우코스 제국에서 분리되어 칼키스 왕국을 세웠다. 베카를 근거지로 삼은 이투레아인은 영토를 확장하여 해안의 페니키아 도시들을 포함했고, 다마스쿠스에도 근접했다. 그들의 영토는 결국 나머지 로마 시리아에 흡수되었다.
이 계곡은 동부 속주에서 중요한 농업 지역 중 하나였기 때문에 로마 제국에게 상당한 중요성을 지녔으며, 많은 신전으로 유명했다. 이 지역은 또한 팔미라 여왕 제노비아의 관심을 끌어, 그녀는 계곡과 팔미라를 연결하는 제노비아의 운하를 건설했다.
3. 5. 레바논 내전과 그 이후
레바논 내전 동안 대마초 재배는 베카 계곡의 주요 수입원이었으며, 이 지역에서 대부분의 하시시와 아편이 생산되었다. 전쟁으로 인해 다양한 단체들이 수입을 위해 불법 마약 거래에 의존하게 되었다. 계곡 대부분을 통제했던 시리아는 이 거래로 상당한 이익을 얻었다. PLO와 같은 팔레스타인 테러 단체들도 하시시 거래에 참여하여 수백만 달러를 벌어들였다.[13]
1990년대 초 미국이 주도한 전 세계적인 마약 단속인 마약과의 전쟁 동안 이 거래는 붕괴되었다.[14] 미국 국무부의 압력으로 점령 시리아군은 베카의 대마초 밭을 갈아엎고 독극물을 살포했다. 1991년 이전에는 베카에서 재배된 불법 작물로 발생한 수입이 약 5억달러로 추산되었다. UNDP에 따르면, 당시 바알베크와 헤르멜 지역의 연간 1인당 소득은 500USD를 넘지 않았다. 같은 기관은 레바논 나머지 지역의 수치를 2074USD로 추산했다.[14]
1990년대 중반 이후, 베카 계곡의 마약 문화와 생산은 꾸준히 감소했다. 2002년까지 약 2500ha[15]의 대마초는 정부의 영향력이 미미한 계곡 최북단 지역으로 제한되었다. 2001년 이후 매년 레바논 육군은 수확 전에 작물을 파괴하기 위해 대마초 밭을 갈아엎고 있다.[16] 이 조치로 전체 작물의 30% 이하가 제거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내전 동안 중요했던 아편 재배는 1983년 연간 약 30ton에서 2004년에는 미미한 양으로 감소하면서 주변부로 전락했다.
2006년 레바논 전쟁과 2007년 야당의 정부 보이콧 기간 동안 중앙 레바논 정부를 약화시킨 정치적 불안이 증가하고, 실행 가능한 대안의 부족, 실현되지 않은 UN의 관개 사업 약속과 대체 작물 보조금으로 인해 마약 재배와 생산이 상당히 증가했다.[17][18] 이들은 내전 시대 생산량의 일부에 불과하며, 무장 가족을 보호하는 부족법의 지배가 여전히 강력한 바알베크 마을 북쪽으로 제한되어 있다.
레바논 내전 중 1976년부터 종결 후 2005년까지 레바논 주둔 시리아군의 주력 부대가 주둔했다. PLO나 비PLO 계열 팔레스타인 조직도 캠프를 구축했으며, 일본 적군도 한때 본거지로 삼았다.
또한, 1980년대 이후는 헤즈볼라의 유력한 근거지 중 하나이며 (바알베크에 본부 중 하나를 두고 있다), 친시리아 팔레스타인인 조직의 군사 거점도 존재하기 때문에, 이스라엘 방위군의 공습이나 지상전이 종종 발생한다.
4. 지역 및 주민
자흘레는 베카 주의 최대 도시이자 행정 수도이다. 베이루트-다마스쿠스 고속도로 바로 북쪽에 위치하며, 이 도로는 계곡을 가로지른다. 자흘레 주민 대다수는 레바논의 기독교인이며, 멜키트 가톨릭, 마론파, 그리스 정교회가 다수를 차지한다. 계곡 동부에 있는 안자르는 주로 레바논 아르메니아인이 거주하며, 8세기 아랍 유적으로 유명하다. 더 동쪽으로 가면, 마잘 안자르는 레바논 수니파가 다수를 차지한다.
베카 북부 지역인 바알베크와 헤르멜 주민 대다수는 레바논 시아파이며, 데르 엘 아흐마르는 예외로 주민들이 레바논의 기독교인이다. 바알베크와 헤르멜 지역에는 기독교와 수니파 소수가 있으며, 주로 시리아와 국경을 따라 북쪽에 있다.
계곡의 서부 및 남부 지역 또한 레바논의 이슬람, 레바논의 기독교, 드루즈가 혼합된 인구를 가지고 있다. 약 12,000명의 인구를 가진 주브 자닌은 계곡 중간에 있으며, 주민은 수니파이다. 주브 자닌은 서부 베카로 알려진 지역의 정부 중심지이며, 세라일, 응급 의료 서비스 (적십자), 소방서, 법원과 같은 주요 정부 건물이 이곳에 있다.
서부 베카 지역의 다른 도시로는 마쉬가라, 사브기네, 카미드 엘 로즈, 카브 일리아스, 소모르, 요흐모르가 있다. 이 도시들은 모두 다양한 레바논 종교 신도들이 섞여 있다. 서부 베카 지역 동쪽에 있는 라샤이야는 헤르몬산의 레바논 부분을 차지하며 시리아와도 접경하고 있다. 이 지역의 주도 또한 라샤이야인데, 남부 레바논의 라샤이야 알 푸카르와 혼동해서는 안 되며, 오래된 복원된 수크와 1943년 레바논 독립 전 지도자들이 프랑스군에 의해 억류되었다가 풀려난 독립의 성으로 알려진 곳으로 유명하다. 이 지역의 남쪽은 드루즈와 기독교 레바논인이 거주하고 있으며, 북쪽은 주로 수니파 레바논인이 거주한다.
과거 레바논이 겪었던 전쟁과 불안정한 경제적, 정치적 상황 때문에 일부 농민들이 여전히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계곡의 많은 이전 거주민들이 레바논 해안 도시로 떠나거나 아예 이민을 갔으며, 대부분 북아메리카, 남아메리카 또는 호주에 거주하고 있다. 과거에는 광대한 습지와 호수가 있는 계곡이었지만, 현재는 습지가 아주 조금 남아 있다[19]。
5. 농업
로마 제국 시대 레반트 지역의 곡물 공급지였던 베카 계곡은[4] 오늘날 레바논 경작지의 40%를 차지한다.[4]
북쪽은 강수량이 적고 토양이 비옥하지 않아 유목민의 목초지로 쓰인다. 남쪽은 토양이 비옥하여 밀, 옥수수, 면화, 채소를 재배하며, 자흘레를 중심으로 포도원과 과수원이 발달했다.
베카 계곡에서는 하시시와 양귀비를 생산하여 불법 마약 거래가 이루어지기도 한다.[4] 중동에서 드물게 와인을 생산하는 지역이기도 하며, 와인 생산은 주로 기독교 마론파나 정교회 주민들이 담당한다.
6. 와인
베카 계곡은 레바논의 유명한 와이너리들이 있는 곳이다. 와인 제조는 레바논에서 60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전통이다. 평균 해발 1000m의 고도를 가진 이 계곡의 기후는 포도 재배에 매우 적합하다. 풍부한 겨울 비와 여름의 많은 햇살은 포도가 잘 익도록 돕는다. 베카 계곡에는 12개 이상의 와이너리가 있으며, 연간 6백만 병 이상의 와인을 생산한다.[8]
베카 계곡의 주요 와이너리는 다음과 같다.
- 샤토 카
- 샤토 케프라야
- 샤토 코리
- 샤토 크사라[9]
- 샤토 마르시아스
- 샤토 무사르[10]
- 샤토 카나파르
- 클로 생토마스
- 도멘 드 바알
- 도멘 데 투렐
- 도멘 와디[11]
- 크룸 케프라야
- 마사야[12]
- [https://www.terrejoie.com/ 테레 조이]
7. 불법 마약
마약은 로마 제국 시대부터 현재까지 베카 계곡에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재배자들과 부족 마약 조직들은 대마초 거래를 활성화하기 위해 민병대와 협력해 왔다. 이 지역은 페루의 코카인 생산지인 알토 우알라가 계곡에 비유되기도 한다.[13]
레바논 내전 동안 대마초 재배는 베카 계곡의 주요 수입원이었으며, 이 지역에서 대부분의 하시시와 아편이 생산되었다. 전쟁으로 인해 다양한 단체들이 수입을 위해 불법 마약 거래에 의존하게 되었다. 계곡 대부분을 통제했던 시리아는 이 거래로 상당한 이익을 얻었다. PLO와 같은 팔레스타인 테러 단체들도 하시시 거래에 참여하여 수백만 달러를 벌어들였다.[13]
1990년대 초 미국이 주도한 전 세계적인 마약 단속인 마약과의 전쟁 동안 이 거래는 붕괴되었다.[14] 미국 국무부의 압력으로 점령 시리아군은 베카의 대마초 밭을 갈아엎고 독극물을 살포했다. 1991년 이전에는 베카에서 재배된 불법 작물로 발생한 수입이 약 5억달러로 추산되었다. UNDP에 따르면, 당시 바알베크와 헤르멜 지역의 연간 1인당 소득은 500USD를 넘지 않았다. 같은 기관은 레바논 나머지 지역의 수치를 2074USD로 추산했다.[14]
1990년대 중반 이후, 베카 계곡의 마약 문화와 생산은 꾸준히 감소했다. 2002년까지 약 2500ha의 대마초는[15] 정부의 영향력이 미미한 계곡 최북단 지역으로 제한되었다. 2001년 이후 매년 레바논 육군은 수확 전에 작물을 파괴하기 위해 대마초 밭을 갈아엎고 있다.[16] 이 조치로 전체 작물의 30% 이하가 제거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내전 동안 중요했던 아편 재배는 1983년 연간 약 30ton에서 2004년에는 미미한 양으로 감소하면서 주변부로 전락했다.
2006년 레바논 전쟁과 2007년 야당의 정부 보이콧 기간 동안 중앙 레바논 정부를 약화시킨 정치적 불안이 증가하고, 실행 가능한 대안의 부족, 실현되지 않은 UN의 관개 사업 약속과 대체 작물 보조금으로 인해 마약 재배와 생산이 상당히 증가했다.[17][18] 이들은 내전 시대 생산량의 일부에 불과하며, 무장 가족을 보호하는 부족법의 지배가 여전히 강력한 바알베크 마을 북쪽으로 제한되어 있다.
8. 문화 유적
- 바알벡의 고대 로마 유적
- 베카 계곡의 사원 - 신사와 로마 사원의 모음
- 하울라의 무덤 - 후세인 이븐 알리의 딸 하울라의 사당으로 추정
- 우마이야 왕조 시대의 안자르 유적
- 베카의 성모 - 성모 마리아를 위한 마리아 신사
- 아암미크 습지 - 조류와 나비의 서식지
- 샤토 크사라 와이너리 아래의 로마식 동굴
- 레바논에서 가장 높은 미나렛 - 케르베트 루하에 위치
- 베슈와의 성모 성지
- 템닌 엘-포카의 로마식 님파이움
- 카라온 호 - 레바논에서 가장 큰 인공 저수지
- 카미드 알 라우즈의 페니키아 유적
- 리바야의 로마 유적
- 카브 엘리아스의 로마 유적
- 계곡 북쪽 끝에 위치한 헤르멜의 피라미드 타워
- 카라크 누흐에 있는 노아의 무덤 - 노아에게 헌정된 사당
9. 람사르 습지
과거에는 광대한 습지와 호수가 있는 계곡이었지만, 현재는 습지가 아주 조금 남아 있다[19]。 계곡에는 과거 습지의 흔적인 Aammiq Wetland영어이 있으며, 갈대속 및 부들속이 많이 자라는 일대의 갈대밭은 검은제비갈매기, 흰뺨오리, 분홍펠리컨, 지네 등의 철새의 중요한 중간 기착지 및 월동지이다. 1999년 람사르 조약 등록지가 되었다[19]。
참조
[1]
간행물
Environmental Challenges in Lebanon
https://brill.com/di[...]
Brill
1997-01-01
[2]
간행물
Beqaa Valley
https://www.oxfordre[...]
Oxford University Press
2019-05-23
[3]
웹사이트
Beqaa, LB Climate Zone, Monthly Weather Averages and Historical Data
https://weatherandcl[...]
2024-07-29
[4]
웹사이트
Lebanon's Neglected Agricultural Potential - a Story of Baalbek
https://welthungerhi[...]
2024-07-29
[5]
서적
Neolithic Village Sites in the South Beqaa, Lebanon
https://books.google[...]
1969
[6]
웹사이트
The Beqa'a Valley During the Early Bronze Age: A GIS Approach to Settlement Patterns.
https://www.research[...]
2015
[7]
간행물
Biblical Ṣobah: a Location Attempt
https://brill.com/di[...]
Brill
2019-03-25
[8]
웹사이트
Global eye – Spring 2006 – Eye on Lebanon – The Bekaa Valley
http://www.globaleye[...]
[9]
웹사이트
chateauksara
http://www.chateauks[...]
2013-09-10
[10]
웹사이트
Chateau Musar
http://www.chateaumu[...]
2013-09-10
[11]
웹사이트
Lebanese wine
http://www.domainewa[...]
2013-09-10
[12]
웹사이트
Lebanese wine
http://www.massaya.c[...]
2013-09-10
[13]
간행물
Narco-Terrorist Relationships
https://brill.com/di[...]
Brill Nijhoff
2002-01-01
[14]
뉴스
Reinoud Leenders p.19
Middle East International
1998-01-30
[15]
웹사이트
Lebanon
https://www.cia.gov/[...]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22-09-28
[16]
뉴스
'Lebanon army destroys drugs'
United Press International
2002-02-26
[17]
뉴스
"Lebanese find troubles fertile ground for cannabis"
https://web.archive.[...]
Reuters
[18]
웹사이트
Villages in the Bekaa Valley cling to cannabis cultivation as their only means of survival
https://caravanmagaz[...]
2019-12-30
[19]
웹사이트
Ammiq Wetland {{!}}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11-09-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